캐시에 요청한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캐시 미스! 라고 한다. 메인 메모리로부터 일정한 블록 사이즈 형태 데이터를 가져와서 캐시에 저장한 후, 그 데이터에서 특정 워드 크기의 데이터만을 CPU 에 전달한다.
-> 내맘대로 해석해보자면, CPU가 캐시에 내놓으라고 한 데이터가 없을 경우, [캐시미스]
이때 RAM으로 부터 메모리를 가져와서 전달한다.
'컴퓨터 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] npm install 사용시 --save 활용 (0) | 2019.01.16 |
---|---|
mysql 기본 명령어 정리 (0) | 2018.04.10 |
syntactic sugar 란 (0) | 2018.04.10 |
DB 스키마 (0) | 2018.04.10 |
램 인식 불량 8GB > 3.99GB ? (0) | 2018.04.10 |